게임 전반

[스크랩] 중국 게임 산업의 2023년 결산과 2024년 전망

9VM 2024. 4. 20. 02:53
반응형

2023년 중국 게임 산업  결산 요약

  • 2023년 중국 게임시장 매출 3천억 위안 돌파
  • 중국 자체개발 게임, 내수시장의 성장과 해외시장 매출 감소로 희비 엇갈려
  • 중국 모바일게임 수출국 3위는 한국 시장
  • 모바일 게임 중국 게임시장 주도 : 전체 매출의 약 75%를 모바일게임이 차지
    • 장르별 매출 비중으로 보면 RPG, MOBA, 슈팅 장르 순으로.
  • PC게임과 콘솔게임의 매출은 증가한 반면, 웹게임 매출은 감소
  • e스포츠 게임 상품 매출액, 인기 게임에 힘입어 13% 증가
  • 게임 유저들의 소비력 상승에 2차원 모바일게임 매출 30% 증가
  • 모바일 캐주얼게임 시장, 매출구조 대변동 ... 광고 매출액 급감.
  • 미니게임 시장 매출, 전년 대비 3배 증가

2023년 중국 모바일게임 매출 순위 TOP 10


중국 게임 산업 추세와 전망 요약

중국 모바일게임 시장의 새로운 성장 포인트 미니게임’

  • 미니게임 시장 매출, 전년 대비 3배 증가
    • 고객 접근성.
    • 개발 및 운영 비용에 이점.
  • 게임사들이 블루오션으로 뛰어들며 새로운 생태계 형성할 전망
    • 현 정책상 판호가 필요하지 않음.
    • 위챗, 더우인 등 거대 트래픽을 보유한 플랫폼.
    • 숏폼 영상 플랫폼 ( 더우인, 콰이서우 )이 미니게임 유통의 기폭제 역할.
      • 합성대사과, 양료개양
    • 지비트네트워크(吉比特), 킹넷네트워크(恺英网络), 라스타그룹(星辉娱乐), 센추리화퉁그룹(世纪华通) 등 10여 곳의 상장 게임회사들이 앞다투어 미니게임 사업 분야 뛰어듬
    • 중국 미니게임의 글로벌 시장 진출 시도 이어질 전망
  • 최근 <모험대작전(冒险大作战)>, <심도대천(寻道大千)>, <국왕지의(国王指意> 등의 미니게임이 해외 시장에서 잇따라 흥행.

<모험대작전(冒险大作战)> 는 한국에서 <버섯커 키우기> 출시되어 흥행에 성공한 중국 미니게임

레드오션이 된 글로벌 게임시장

  • 경쟁이 과열된 글로벌 게임시장, 중국 게임 수출이 쉽지 않은 상황
    • 2023년 미국, 독일, 영국, 일본, 한국 등의 서비스되는 중국 게임을 증가하고 있으나, 해외에서의 매출액은 2년 연속 감소 -> 중국 게임에게 해외 시장이 레드오션화 되고 있다는 의미.
  • 신흥시장 공략을 통해 돌파구를 모색하는 게임사들
    • 동남아시아, 중동, 라틴 아메리카와 같은 신흥시장에 주목
  • 해외시장 진출과 함께 이어지는 현지화 시도
    • 37모바일게임즈는 해외시장에서 RPG게임 <투라대륙: 혼사대결(斗罗大陆:魂师对决)>, 캐주얼게임 <퍼즐 & 서바이벌(Puzzles & Survival)>, MMORPG <운상성지가6)>, 경영 시뮬레이션게임 <규아대장 궤7)>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성공적으로 출시하며 중국 모바일게임 수출업체 매출 차트에서 장 기간 상위권을 차지함
    • 또한 중국에서 개발된 서브컬처 게임을 일본 및 해외시장에 주로 서비스하는 요스타 게임즈(悠星 网络) 또한 이미 여러 성공사례를 보유하고 있음. 디펜스게임 <명일방주>는 일본 서버에서 가을 감사제 행사기간 하루 매출 400만 달러를 돌파하는 성과를 달성했으며, 브라질에서 큰 인기를 끈 슈팅게임 <프리파이어(Free Fire)> 역시, 현지의 카니발 축제와 연계한 마케팅으로 브라질 국가대 표팀 전용 스킨과 아이템 등을 선보이며 꽤 좋은 반응을 얻음

고강도 규제안 발표로 게임업계의 관심 집중

  • 중국 정부의 강화된 규제안 발표
    • 2023년 12월, <인터넷게임 관리방안(网络游戏管理办法)> 초안 공개.
    • 해당 초안에는 게이머 간 강제전투 금지, 일일 로그인 보상 금지, 최초 및 연속 결제보상 금 지, 경매장 시스템 통한 게임 아이템의 고가거래 지원 및 묵인 금지, 결제한도 설정 의무화, 비합리적 소비에 대한 팝업 경고 의무화 등 게임 내 유료 비즈니스 모델을 제한하는 내용이 포함.
  • 정책 리스크로 인한 업계 불안감 고조
    • 고강도 규제안이 발표된 당일, 텐센트는 12.35%, 넷이즈는 24.60%로 주가가 급락할 정도로 업계의 부담감 이 상당했음. 규제 초안 발표 다음 날, 해당 초안이 게임산업의 억제가 아니라 번영과 건전한 발전을 위한 것임을 밝혔으나 엄격한 관리 감독에 대한 업계의 불 안감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음

AI와 게임산업의 융합 가속화 전망

  • 중국 게임업계 최고의 화두 ‘AI 기술과의 결합
    • 생성형 AI와 게임과의 결합은 업계의 화두.
  • AI의 다방면 활용, ‘저비용 고효율’로 이어져
    • 아트 작업을 보조하는 AI 기술 활용에 있어, 업계 정상급 게임업체들의 경우 저비용 고 효율을 달성한 여러 성공사례들이 나오기 시작했음.
    • 먼저, <선검세계(仙剑世界)>는 차이나모바일게임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한 선협물 RPG 게임으로, 게 임 내 NPC10)들이 사용자와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도록 현지화된 AI 대규모 언어모델을 전격적 으로 도입함. 이 언어모델은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하여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능 력을 가지고 있으며, <선검세계>에 최적화되어 NPC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서 보다 생동감 있고 매력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됨.
    • 2023년 6월 출시된 넷이즈(网易)의 무협 RPG <역수한(逆水寒)>의 경우 게임의 캐릭터 생성, NPC 대화, 파티원 구성 등에 AI 기술을 도입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힘. 특히 게임 내 NPC의 대화, 표정, 음성 등을 모두 AI로 생성해내며 유저와의 대화내용에 따라 다양한 표정, 답변, 행동 등을 보여주 는 스마트형 NPC를 선보여 유저에게 더 높은 자유도와 몰입감을 선사했다는 호평을 받음.
  • 게임업계, AI 관련 전략적 투자 이어질 전망
    • AI 기술은 게임 제작에서부터 사용자 경험의 개선, 게임 내 콘텐츠의 자동생성 등 다양한 영 역에서 활용될 수 있음. 특히 AI를 통해 게임 내 NPC의 대화나 행동을 자연스럽게 만들거 나,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해 개인화된 게임 경험을 제공하는 등, 저비용으로 고효율의 운영 이 가능해짐.
    • 2023년 중국 게임업계의 전반적인 투자규모는 전년 대비 축소했지만, AI 관련 분야의 투자 는 일정 부분 증가했음.

 

2023년 중국 게임 기업 순위 ( 소스 : 컨텐츠진흥원 보고서 )


<출처> 한국 콘텐츠 진흥원 

[중국 24-02호] 중국 게임산업 23년 결산과 24년 전망.pdf
4.02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