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Balancing of Extraction Games

Optimize Supply and Demand

수요와 공급 곡선 (위키피디아)

공급 최적화

공급 최적화란 플레이어들에게 제공되는 자원(화폐, 아이템, 장비 등)의 획득량, 획득 경로, 희소성을 조정하여 게임 내 경제 시스템의 안정성, 공정성,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플레이어가 과도한 자원 획득으로 경제를 붕괴시키거나, 반대로 자원 부족으로 게임 경험이 좌절감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조정합니다.

1. 공급 최적화를 위한 핵심 목표

  1. 자원의 희소성 유지:
    플레이어가 자원을 쉽게 얻지 못하게 하여 희소성을 통해 긴장감과 경제적 가치를 강화.
  2. 획득 경로 다양화:
    특정 자원이 특정 플레이 스타일에 의존하지 않게 설계하여 다양한 플레이 방식을 지원.
  3. 경제적 균형:
    자원의 수요와 공급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도록 조정.
  4. 게임 몰입도 유지:
    과도한 자원 획득이 게임 난이도를 낮추지 않도록 설계.

2. 공급 최적화를 위한 밸런싱 전략

1) 자원 획득 조정

  • 드랍율 조정:
    특정 고가치 아이템의 드랍 확률을 제한하여 희소성 강화.
    예: 희귀 무기 부품이나 고급 방어구의 드랍율을 낮춤.
  • 획득 조건 추가:
    특정 자원은 플레이어가 더 많은 리스크를 감수해야만 얻을 수 있도록 설계.
    예: 고위험 지역에서만 특정 아이템 획득 가능.

2) 소비 경로 설계

  • 자원 소모 메커니즘 도입:
    자원을 소비하도록 유도하여 경제 내 자원 과잉을 방지.
    예: 무기와 장비의 내구도 시스템을 강화하여 자주 수리 필요.
  • 업그레이드 및 제작 시스템 강화:
    플레이어가 자원을 소비하여 더 강력한 장비를 제작하도록 설계.
    예: 워크샵 업그레이드 시 고급 자원 대량 소모.

3) 시장 및 거래 조정

  • 거래소 통제:
    플레이어 간 거래에서 특정 고가치 아이템의 거래량을 제한하거나 세금 부과.
    예: 상위 티어 아이템은 거래 수수료를 더 높게 설정.
  • 동적 가격 시스템:
    자원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변동하도록 설계.
    예: 자주 사용되는 의료 아이템의 가격 상승.

4) 플레이어 행동 분석 기반 조정

  • 획득 통계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을 통해 평균 레이드당 자원 획득량을 확인하고, 과도한 수익 경로를 조정.
    예: 특정 지도에서 아이템 획득량이 과도하다면 해당 지역의 아이템 배치를 변경.
  • 플레이어 성향에 따른 밸런싱:
    공격형, 탐색형 등 플레이 스타일별 자원 획득 밸런스를 조정.
    예: 탐색형 플레이어가 레이드에서 충분한 자원을 얻을 수 있도록 소규모 드랍 보상 추가.

3. 공급 최적화 사례 시나리오

문제 상황: 특정 자원의 과잉 공급으로 경제 붕괴

  • 현상: 의료 아이템이 과도하게 공급되어, 거래소에서의 가격이 급락.
  • 대응 전략:
    1. 의료 아이템 드랍 확률 감소.
    2. 의료 아이템 제작에 희귀 자원을 요구하도록 조정.
    3. 의료 아이템 소비를 늘리기 위해 치료 효과를 감소시키고 더 자주 사용하도록 설계.

문제 상황: 고위험 지역에 대한 접근 기피

  • 현상: 플레이어들이 낮은 위험 지역에서만 자원을 파밍, 특정 지역이 외면됨.
  • 대응 전략:
    1. 고위험 지역에서만 획득 가능한 독점 자원 추가.
    2. 고위험 지역에서 생존 시 더 큰 보상(희귀 자원 패키지) 제공.
    3. 고위험 지역의 보상 시스템을 일일/주간 퀘스트와 연결.

4. 공급 최적화의 궁극적 효과

  • 자원의 희소성을 유지하면서도 플레이어가 성장의 보람을 느낄 수 있는 환경 제공.
  • 경제의 지속 가능성과 게임 내 경제적 목표의 명확성 강화.
  • 리스크와 보상의 균형을 통해 플레이어의 긴장감과 몰입도 유지.
  • 다양한 플레이 스타일을 지원하면서도 경제적 우위를 점하려는 동기를 제공.

 

수요 최적화

수요 최적화란 플레이어들이 게임 내에서 특정 자원(아이템, 화폐, 장비 등)에 대한 획득 욕구와 사용 필요성을 균형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플레이어들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소비하도록 유도하며, 경제 시스템 내 자원의 순환과 희소성을 유지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1. 수요 최적화를 위한 핵심 목표

  1. 자원의 유용성 강화:
    자원의 활용도가 명확하고 다양한 용도를 제공하여 플레이어의 수요를 자극.
  2. 소비 동기 유발:
    자원의 사용이 플레이어의 성과, 성장,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설계.
  3. 시장 활성화:
    플레이어 간 자원 거래를 촉진하여 경제적 활동성을 유지.
  4. 게임 내 순환 구조 유지:
    자원이 축적만 되는 상황을 방지하고, 지속적으로 사용되도록 설계.

 

2. 수요 최적화를 위한 밸런싱 전략

1) 자원 소모처 설계

  • 자원 사용 압박 요소 추가:
    자원을 계속 소비하도록 만들어 수요를 유도.
    • 예시:
      • 탄약과 의료 키트는 지속적으로 소모되도록 설계.
      • 장비는 내구도가 감소하며 수리나 교체 필요.
  • 업그레이드 시스템 도입:
    고급 장비나 기지를 업그레이드하려면 특정 자원이 필요하도록 요구.
    • 예시:
      • 워크샵 업그레이드에 희귀 자원 필요.
      • 장비의 커스터마이징을 위한 독점 재료 요구.

2) 아이템 활용성 다양화

  • 멀티 퍼포스 아이템 도입:
    자원이 여러 용도로 활용되도록 설계하여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
    • 예시:
      • 의료 키트는 체력 회복뿐 아니라 특정 질병 치료에도 사용 가능.
      • 아이템을 판매하거나 제작에 사용할 수 있는 선택 제공.
  • 특정 상황 의존 자원 설계:
    특정 맵이나 특정 적에 적합한 자원을 도입하여 플레이어가 다양한 자원을 확보하려는 동기를 부여.
    • 예시:
      • 특정 방탄복은 특정 맵에서 더 높은 효율성을 제공.

3) 경제적 압박 강화

  • 수요 자극 퀘스트 설계:
    특정 자원의 수집이나 사용을 유도하는 퀘스트를 배치.
    • 예시:
      • 희귀 재료를 모아 기지를 강화하는 목표 제공.
      • 특정 아이템을 거래소에서 획득해야 퀘스트 완료 가능.
  • 거래소 가격 동적 조정:
    수요가 높은 자원의 가격을 시스템적으로 조정하여 자연스럽게 수요를 분산.
    • 예시:
      • 의료 키트 수요가 증가하면 제작 비용도 상승하도록 설계.

4) 플레이어 간 경쟁 유도

  • 한정 공급 및 이벤트 연계:
    특정 자원을 한정적으로 제공하여 플레이어 간 경쟁을 유발.
    • 예시:
      • 특정 기간 동안 희귀 아이템 제공 이벤트.
      • 고위험 지역에서만 획득 가능한 독점 자원 추가.
  • 플레이어 거래 시스템 강화:특정 자원을 플레이어 간 거래를 통해서만 획득할 수 있도록 설계.
    • 예시:
      • 고급 장비 재료는 상점에서 구매 불가, 플레이어 거래소에서만 거래 가능.

 

3. 수요 최적화 사례 시나리오

문제 상황 1: 특정 자원의 수요 감소

  • 현상: 방탄복의 내구도가 너무 높아 교체 필요성이 적어, 시장 수요가 줄어듦.
  • 대응 전략:
    1. 방탄복 내구도를 낮추고, 더 자주 수리하거나 교체하도록 설계.
    2. 특정 적 유형에 따라 방탄복 효과를 차등화하여 다양한 종류의 방탄복 필요성 증가.

문제 상황 2: 특정 자원만 과도하게 사용

  • 현상: 플레이어들이 특정 탄약 종류만 사용, 다른 자원의 수요가 낮아짐.
  • 대응 전략:
    1. 특정 탄약이 특정 무기에서만 효율적이도록 설계.
    2. 탄약 제작 시 다양한 재료를 요구하여 제작 옵션 다양화.

문제 상황 3: 고가 자원의 누적

  • 현상: 상위 플레이어가 희귀 자원을 과도하게 축적하여 시장 독점.
  • 대응 전략:
    1. 자원의 사용 기한을 도입하여 시간이 지나면 소멸되도록 설계.
    2. 특정 자원을 유지하려면 주기적으로 추가 자원을 소모하도록 설계.

 

4. 수요 최적화의 궁극적 효과

  • 플레이어들이 자원의 사용에 전략적으로 접근하여 게임 몰입도를 높임.
  • 다양한 자원의 가치와 사용성을 유지하여 플레이어 간 거래와 상호작용 강화.
  • 자원 사용을 통해 경제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순환하며 건강한 게임 경제 유지.
  • 자원의 소비와 사용으로 인해 경제적 도전감을 지속 제공.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